본문 바로가기
취업 이야기

증권사 규모/ 직무에 따른 입사전략

by 은빛공원 2022. 12. 25.
반응형

나는 2011년 커리어를 시작하여 업계에서 몇번인가 이직하면서 중소형 증권사와 대형증권사를 모두 경험해봤다. 대형 증권사는 크게 5개사를 말한다.

미래, NH, KB, 한투, 삼성

여기에 조금 더 몇개사를 추가하자면,
메리츠, 키움, 하나, 신한, 대신 정도가 있다.

물론 회사마다 잘하는 영역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하게 규모로만 비교하기는 어렵다. 또한 IB의 경우 팀/ 부서별 손익 편차도 매우 크다. 잘하는 영역은 딜을 많이하고, 성과가 좋아 해당 부서에서는 보수를 많이 받는 임직원들이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전통IB는 주식과 채권 발행이 근간이 되는 IPO, ECM, DCM 업무를 통칭한다. 내가 느끼는 최근 10년 증권사별 차별화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사실 부동산은 모든 증권사가 확대 했다)

NH, KB, 한투: 부동산은 물론 IPO 등 전통IB 강자. WM은 물론 모든 영역에서 대부분 탑. 토탈 서비스 구축

미래: PI & IB 연계 투자형IB. 전통IB 축소. 부동산, 대체투자 등 투자형 글로벌 딜 확대

삼성: WM, 부동산

메리츠: IPO 같은 전통IB 부서가 없음. PI, 부동산 확대

키움: MTS, 부동산

하나: 리서치센터(홀세일), 부동산, PI
신한: PI, 리서치센터(홀세일), 전통IB

대신: IPO 중심 전통 IB 확대

10여년이 조금 넘는 직장생활에서 내린 결론은 대형증권사는 입사하기가 어렵고, 원하는 직무로 배정받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대신 배우기가 좋고, 네임밸류가 좋아 결혼시장에서 유리하며, 안전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멋있는 사무실과 명함은 덤이다. 중소형증권사는 배가 고프다. 다루는 딜의 규모도 작고 사무실도 멋없다. 네임밸류도 안좋아 결혼할 때는 장모님이 처음 들어보는 증권사에 계약직이라며 결혼을 반대할 수도 있다. 보통은 기본급도 낮고, 선수팀이 아니라면 성과급도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하던 직무에 합격했다면 중소형증권사가 더 나을수도 있다. 실적이 좋은 선수팀이라면 대형증권사 보다 훨씬 나을 수도 있다.

만약 스펙상으로 대형증권사에 입사하기 애매하다면, 중소형 증권사 원하는 직무에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형사 미들/ 백오피스와 중소형사 프론트 부서에 동시 합격했다면 무조건 원하는 직무를 할 수 있는 곳으로 가야한다. 대형사 미들 / 백오피스 입사 후 내부이동은 하늘의 별따기 이다. 이것은 실력과 태도보다도 운의 문제이다. 중소형사 프론트로 입사하여서는 경력만 쌓으면 주니어때도 대형사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선수팀에서 배웠다면 대형사에서 모셔간다. 물론 정치와 텃세는 감안해야 한다.

가장 베스트는 중소형사에 있던 팀이 통째로 대형사로 이직하며 같이 따라가는 것이다. 나도 그렇게 대형사로 이직을 한 적이 있다. 거꾸로 시니어 레벨에서는 대형사에서 중소형사로 이직이 잦다. 내부 정치에 밀리든, 성과 배분에 불만이 있건 둘 중 하나이다. 후자의 실력자라면 중소형사에서 엄청난 성과를 낼 수 있다. 또한, IB 업계는 회사 사이즈를 불문하고, 팀 단위 또는 몇명의 단체 이동도 잦다. 부동산금융 쪽이 특히 더 그렇다. 그러나 실력(=실적)이 뒷받침 되지 못한 중소형사 이직은 실패할 확률이 높다. 대형사의 편안함에 젖어 필사적으로 하지 않는다면 실패할 확률이 높다. 대형사 임원들 중 중소형사에서 성공한 케이스도 있는 반면 중소형사 임원 중 대형사 출신도 있는 이유이다.

업계에서 이직 오퍼는 능력순이고, 능력은 이직을 부른다.

주니어 때는 대형 증권사를 한번 쯤을 거치는 것이 나쁘지 않다. 빅딜 경험은 물론 대기업의 시스템과 정치를 보고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규모가 큰 빅딜은 사소한 프로세스 하나하나를 점검하고 정밀화된 업무처리를 요한다. 따라서, 고도의 실무 역량과 집중을 필요로 한다. 대형 로펌이 껴있어 주고 받는 메일도 수십번이고, CC도 수십명에 걸려있다. 빅딜에서는 실수 하게 되면 사고가 커진다.

대다수 증권사는 특정 부문/ 본부 내 특정 부서까지 결정하여 채용을 진행하지 않고, 본부까지만 명시하여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혹은 직무를 명시하지 않고 진행하는 경우도 많다. 이 경우 원하던 직무를 하지 못할 확률이 매우 높다. 증권업계 종사자들은 주위를 둘러보면 SKY 경영학과를 졸업 하고도 대형증권사 공채로 입사를 하여 인사팀, PB, 기획팀, 재무팀 등으로 배정 받은 동기들의 얼굴을 쉽게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이 부서들이 나쁘고 안좋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원하는 직무를 올바르게 선택해야 나중에 후회가 없다는 이야기이다.

증권사 입사는 어렵고 치열하다. 대기업, 은행, 보험과 더불어 문과 취업의 끝판왕이다. 대기업에는 기획, 마케팅, 홍보, 인사, 총무, 회계 같은 백오피스 자리와 영업직군 뿐 이다. 특히나 요즘 대기업들은 문과 T. O를 더 줄인 것으로 알고 있다. 해외대는 물론 상위권 대학중 금융권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졸업생 대부분이 지원해본다. 외사, 컨설팅 자리는 극소수이다. (로컬) 증권사는 중소형사도 경쟁률이 수십대 일에서 수백대 일이다. 진작 금융업에 관심이 있었다면 다들 빵빵한 인턴 경험들도 있다. 이런 치열한 경쟁률 때문에 좋은 스펙이 원하는 직무 선택을 보장해주지 못한다.

생각보다 증권사 백/ 미들 오피스 부서에는 부자들이 많이 다닌다. 영업부서에서 받는 엄청난 스트레스를 주는 실적 압박도 없고, 업계 평균의 나름 높은 연봉을 받으며 안정적으로 쭉 다닐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형사 백/ 미들의 경우 못버는 프론트 부서 대비 오히려 평생소득으로는 나을 수 있다. 다만 재미는 조금 떨어 질 수 있다. 허세를 부릴만한 내부정보도 많지 않다. 따라서 입사 전 원하는 직무가 무엇인지, 본인의 성격과 적성, 전공을 잘 고려해야 원하는 직무을 결정해야만 한다. 이는 솔직한 현직자의 조언과 인턴 경험을 통해 파악하는 것이 가장 좋다. 증권업계는 분명 전문성이 있다. 전문성은 주니어 레벨 때 부터 그 부서에 머물러야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몸값을 높일 수 있다. 운좋게 시니어 레벨 때 직무를 바꾼다고 하여도 실무를 모르고 바로 영업부터 시작하게 되면 밑은 물론 위의 눈초리를 받으며 엄청나게 고생하여 겨우 적응하거나, 도태되기 마련이다. 적응이라 함은 실적을 낼 수 있느냐의 문제이다. 몇년내로 실적을 낼려면 실무도 알아야하고, 사람도 알아야 한다.

리서치센터나 운용부서 처럼 나중에는 아예 진입이 불가능한 부서도 있다. 내 경험상 리서치센터의 경우 중소형증권사에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서치센터 업계의 베스트 애널리스트 명단을 보면, 중소형증권사에서 RA로 시작한 애널리스트들이 빠른 데뷔를 통해 실력을 갖추고 몇번간의 이직을 통해 대형사에 정착하여 업계를 꽉 잡고 있다. 물론, 엄청난 노력을 통해 실력을 겸비한 애널리스트 들이다. 대형사 출신 RA들은 거의 99%가 업계에 남아있지 못하다. 대형증권사는 섹터가 나도 외부에서 몸값이 비싼 시니어 애널리스트를 사온다. 수많은 대형사 RA들이 데뷔는 못하고 고생만 하다 증권가의 눈물로 사라졌다.

반응형

댓글